본문 바로가기
Tips

[GIS 해보기] 공간보간법 Interpolation

by 앤드류황 2023. 3. 27.

*최초 작성일: 2023-03-27

*해당 내용은 이희연, 심재헌의 GIS 지리정보학과 오규식, 정승현의 GIS와 도시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.

*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이므로 틀린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세요! 


공간보간법 Interpolation

공간보간법은 일부 점 데이터를 통해 연속적인 표면 모델링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.

간단히 말하면 몇 개의 점 데이터로 전체 지역의 데이터를 만드는거죠.

따라서 값이 없는 지역은 주변 지역의 실측 값에 보간함수를 적용해서 구하게 됩니다.

  • 지리학자 Waldo R. Tobler의 공간적 자기상관 개념을 기반으로 함
  • 멀리 있는 지점보다 근접한 지점과 더욱 유사한 값을가지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따라 추정

조홍래, 정종철. 2009. 공간보간기법에 의한 서울시 미세먼지(PM10)의 분포 분석. 환경영향평가, 18(1):31-39

 

공간보간법의 종류

1. 전역적 보간법(global interpolation): 모든 기준점을 하나의 연속함수로 표현하는 방법

  • 변동성이 크지 않은 데이터에 적합하며, 전반적인 경향을 추정하는 방법
  • ex) 경향면 분석(trend surface analysis)

2. 국지적 보간법(local interpolation): 대상지 전체를 작게 분할하여 각 구획별로 부합하는 함수를 산출하여 표현하는 방법

  • 전역적 보간법과 반대로 전반적인 경향을 추정하기는 어려우나, 정밀한 분석에 적합
  • ex) 크리깅(kriging), 역거리 가중치(inverse distance weighting)

 

댓글